안전한 전세계약 실전 가이드 (최신 제도 반영)

전세계약은 수천만 원에서 수억 원에 이르는 자산을 걸고 체결되는 법적 행위입니다. 하지만 많은 임차인이 등기부 확인, 권리분석, 확정일자 등록 등 기초적인 절차를 놓쳐 전세사기나 깡통전세로 인한 피해를 입고 있습니다. 특히 최근 몇 년간 전세보증금 반환 분쟁이 급증하면서, 계약 체결 전·중·후의 꼼꼼한 점검이 필수로 자리잡고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의 전세제도 변경사항과 함께, 안전한 전세계약을 위한 실전 가이드를 단계별로 안내합니다. 안전한 전세계약 장면 전세계약 전 꼭 확인해야 할 사항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등기부등본 열람 입니다. 등기부등본을 통해 해당 부동산의 소유자가 누구인지, 근저당·가압류가 걸려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. 소유자가 여러 명인 경우엔 공동명의 여부를 확인하고, 대리 계약 시에는 인감증명서 및 위임장이 갖춰져 있는지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. 다음으로 중요한 항목은 전입신고와 확정일자 입니다. 전입신고는 대항력 발생 요건이며, 확정일자는 우선변제권 확보를 위한 제도입니다. 전입신고는 신고일 다음 날 0시부터 효력이...